관세,무역,외환에 관한 생각정리
TOPIC 27. 외국통화에 대한 선물환거래 본문
revision 2021. 11. 25
배추라는 현물자산의 가치는 시장에서 형성된 배추가격으로 평가되지만 배추가격은 시장의 수급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변동할 수 있다. 배추를 대상으로 한 거래에서 농부와 유통업자와 같이 가치가 변동하는 자산을 대상으로 하는 거래에서 두 거래자는 자산의 가격변동 방향에 따라 이해관계를 달리한다. 자산가격의 변동방향에 따라 이익이나 손실을 입는 거래당사자가 바뀌지만 양 당사자는 모두 자산가격의 변동에 따른 손실을 입을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두 거래자에게 노출된 위험은 현물자산에 내재된 가치변동성에서 비롯된다. 만약, 앞선 농부나 유통업자가 선도거래(밭떼기거래)와 같은 외부거래를 통해 장래의 자산 가격을 확정한다면 자산의 가치변동성은 사라져 거래자에게 노출된 위험도 함께 제거된다.
배추와 같은 현물자산의 가격 변동성은 상품자산에 내재 된 고유한 속성이므로 농부나 유통업자가 배추의 시장가격의 변동을 통제할 수 없다. 그러나, 이들 간 거래에 적용할 배추가격은 당사자 간 합의에 의해서 미리 확정 할 수 있다. 출하시기의 배추가격이 미리 확정된다면 당연히 출하시기에 배추가격변동에 따른 손실을 볼 위험은 제거 된다. 그러나 동시에 가격변동에 따라 이익을 볼 기회도 함께 제거된다. 헤지(HEDGE)는 장래 불확실한 자산의 가격을 미리 확정하여 자산의 가치변동성을 제거해 자산의 가격변동에 따른 손실 위험을 제거하는 메커니즘을 의미한다. 헤지는 위험이 제거되면서 이익의 실현기회도 함께 제거되기 때문에 잠재적인 수익에 대한 기대를 포기함으로서 위험을 제거하는 것으로도 설명 할 수 있다.
밭떼기 거래(선도거래)에서 농부와 유통업자의 거래흐름은 장래에 외국통화를 수취할 수출자와 장래에 수입대금을 외화로 지급할 수입자 간의 관계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수출기업은 현재 수출한 수출대금 미화 1달러를 1년 뒤 수취할 예정이고, 다른 수입기업은 현재시점에 외국으로부터 수입한 물품대금 미화 1달러를 1년 뒤 해외에 송금하여야 한다. 외환시장에서 현물환율이 미화 1달러 당 원화 1,000원에 형성되어 있을 때, 미화 1달러는 원화 1,000원으로 평가된다. 수출기업이 수취할 미화 1달러는 그 기업의 외화표시 자산에 해당하며, 수입기업이 송금할 미화 1달러는 외화표시 부채에 해당한다. 두 기업의 외화표시 자산과 부채를 현재의 현물환율로 평가 할 때, 그 자산과 부채의 원화평가액은 원화 1,000원이다. 그러나, 이들 자산과 부채의 원화평가액은 환율변동에 따라 변동되며 실제 송금이나 수취시점의 환율에 의하여 원화가치가 확정되고, 현재시점에 정확히 평가할 수 없다. 1년 뒤 현물환율이 1,500원으로 상승한다면 수출기업의 외화표시 자산과 수입기업의 부채의 원화평가액은 모두 증가하여, 수출기업은 환율변동에 따라 이익을 보고, 수입기업은 손실을 입는다. 환율이 하락한다면 환율변동에 따른 이익을 보고 손실을 입는 당사자는 바뀐다.
두 기업의 외화표시 자산 및 부채는 앞선 배추라는 상품자산과 같이 미화 1달러의 원화가격인 시장환율로 평가 할 수 있다. 장래의 환율이 변동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화 1달러라는 자산 역시 1년 뒤의 원화평가액을 현재시점에 확정할 수 없는 불확실성이 내재 된 자산(부채)이고, 두 기업은 환율변동에 따라 각 자가 보유하고 있는 자산이나 부채의 원화환산가치의 변동위험(환율변동에 따른 손실을 입을 가능성)에 노출되어 있다. 두 기업에게 노출 된위험은 미화 1달러의 가격을 나타내는 환율의 변동가능성에서 비롯된다.
만약 위 수출기업과 수입기업이 1년 뒤 수취 및 송금 할 미화 1달러를 약정환율로 매매하기로 합의한다면 미화 1달러의 가격은 시장환율에 관계없이 약정된 환율로 고정된다. 이 외환거래가 선물환거래이며, 두 기업은 외화표시 자산이나 부채를 보유함으로서 발생하는 환율변동에 따른 위험을 배추에 대한 밭떼기 거래(선도거래)와 유사한 선물환거래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 선물환거래는 환율변동에 따른 외화표시 자산(부채)의 가치변동성을 제거할 수 있는 헤지수단이 될 수 있고 이 점에서 현물환거래와 차이가 있다. 물론, 선물환거래가 헤지목적만으로 거래되는 것은 아니다. 환율이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는 거래자는 장래 거래차익의 실현목적으로 선물환거래를 통하여 초기 비용 없이 확정된 가격으로 외국통화를 매입(매도)할 약정을 맺을 수 있다. 선물환거래는 시세차익 실현을 목적으로 한 방향성(투기)거래의 수단도 된다.
배추라는 자산의 가치는 시장에서 형성된 배추가격에 따라 결정되고, 배추가격은 시장상황에 따라 변동할 수 있기 때문에 위 농부 또는 유통업자는 배추의 출하시기에 시장가격에 따라 이해관계를 달리한다. 가격의 변동방향에 따라 이익과 손실을 입는 당사자가 바뀌지만 두 거래자 모두 배추가격의 변동에 따른 손실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두 거래자에게 노출된 위험은 배추라는 자산의 가격변동성에서 비롯되므로, 농부나 유통업자는 선도거래(밭떼기거래)와 같은 외부거래를 통해 출하 시 배추가격을 확정할 때 위험은 제거된다.
배추가격의 변동성은 배추라는 상품자산에 내재 된 고유한 속성이어서 시장에서 배추가격 변동을 농부나 유통업자가 통제할 수 없다. 그러나, 그들에게 적용할 출하 시 배추가격은 당사자 간 합의에 의해서 확정 할 수 있다. 출하시기의 배추가격이 확정된다는 측면에서 두 거래자에게 노출된 자산의 시장가격 변동에 따른 위험은 제거되지만, 동시에 가격변동에 따라 이익을 볼 기회 또한 제거된다. 이렇듯 자산 가격변동에 따른 자산이나 부채의 위험을 제거하는 메커니즘은 헤지(HEDGE)라는 용어로 표현할 수 있으며, 잠재적인 수익에 대한 기대를 일부 포기함으로서 위험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밭떼기 거래에서 농부와 유통업자의 거래상황은 장래에 외화를 수취할 수출자와 장래에 외화가 필요한 수입자 간의 관계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1년 뒤 미화 1달러를 수취할 수출기업과 외국으로부터 수입한 물품대금을 1년 뒤 송금할 수입기업을 가정하자. 현재, 시장환율이 미화 1달러 당 1,000원에 형성되어 있을 때, 미화 1달러는 원화금액 1,000원으로 평가된다. 수출기업이 수취할 미화 1달러와 수입기업이 지급 할 미화 1달러는 현재시점에 원화 1,000원 상당의 외화표시자산과 부채에 해당하지만, 이들 자산과 부채의 원화평가액은 환율변동에 따라 변동되며 실제 송금이나 수취시점의 환율에 의하여 원화가치가 확정된다.
두 기업의 외화표시 자산 및 부채는 앞선 배추라는 상품자산과 같이 시장환율로 평가되고, 1년 뒤의 가치를 현재시점에 확정할 수 없는 불확실성이 내재 된 자산(부채)이며, 두 기업은 환율변동에 따라 각 자가 보유하고 있는 자산이나 부채의 원화환산가치의 변동위험(환율변동에 따른 손실을 입을 가능성)에 노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두 기업의 위험은 미화 1달러의 가격을 나타내는 환율의 변동가능성에서 비롯된다. 두 기업은 환율변동에 따른 위험을 밭떼기 거래와 같은 선도거래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 두 기업이 1년 뒤 수취 및 송금 할 미화 1달러를 약정환율로 거래하기로 합의한다면 미화 1달러의 가격은 시장환율에 관계없이 약정된 환율로 고정된다.
이 처럼 선물환거래는 환율변동에 따른 외화표시 자산(부채)의 가치변동성을 제거할 수 있는 헤지수단이 될 수 있고, 이 점에서 현물환거래와 차이가 있다. 물론, 선물환거래가 헤지목적만으로 거래되는 것은 아니다. 환율이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는 거래자는 장래 거래차익의 실현목적으로 선물환거래를 통하여 초기 비용 없이 확정된 가격으로 외국통화를 매입(매도)할 약정을 맺을 수 있다. 선물환거래는 시세차익 실현을 목적으로 한 방향성(투기)거래의 수단도 된다.
'외환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PIC 29. 현물환 거래가능성 : 교환대상 두 통화의 가치동등성(이론선물환율) (0) | 2021.11.15 |
---|---|
TOPIC 28. 환율결정이론(구매력평가설과 금리평가이론)의 개요 (0) | 2021.11.15 |
TOPIC 26. 밭떼기거래와 선물환거래(FORWARD) (0) | 2021.11.15 |
TOPIC 25. 선물환거래 및 선물환율의 개요 (0) | 2021.11.15 |
TOPIC 24. 현물환거래 및 선물환거래, 각 거래에 적용되는 환율 (0) | 2021.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