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은행간시장 (2)
관세,무역,외환에 관한 생각정리

외환시장 안에서 이뤄지는 외환거래는 거래당사자를 기준으로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은행과 개인·기업 간 거래를 대고객 외환거래로 은행 간 거래는 은행 간 외환거래이다. 은행과 기업(개인)간 외환거래에 적용되는 환율은 대고객매매율로서 은행이 일방적으로 고시(제시)하며, 기업(고객)은 은행과 별도의 환율에 대한 협상 없이 은행이 제시한 환율로 외환거래를 한다. 그러나, 은행 간 외환거래에 적용되는 환율은 은행이 기업(개인)과 행하는 외환거래에 적용되는 환율과 다르게 형성된다. 은행 간 시장형성의 배경은 앞서 설명 한 바 있다. 즉, 은행은 다른 은행과 외화조달이나 환리스크 제거 및 투자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외환거래를 한다. 은행은 대고객 외화거래나 기타 다른 원인에 의하여 큰 규모의 외환을 조달하거나 처분..

오늘날의 금융기관은 자금보관, 지급결제, 대출과 같은 기존의 전통적인 은행업무 뿐만 아니라. 유가증권 및 파생 금융상품 매매, 자산관리, 투자신탁, 기업 인수합병 (M&A), 기업공개 등 자본 및 금융시장에 관련한 업무도 아우르는 종합금융투자기관으로의 성격을 갖지만, 은행 간 시장의 필요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대고객시장에서 외환거래 당사자로서 은행의 기능에 한정하여 거래흐름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대 고객시장에서 시장조성자인 은행은 환율을 TWO WAY 방식으로 고시하여 양 방향 거래를 동시에 맺을 수 있다. TWO WAY 방식으로 고시된 환율에서 매도율은 매입율보다 항상 높다. 이는 은행이 외국통화를 낮은 가격에 매입하여 높은 가격으로 매도한다는 의미가 되며, 매도율과 매입율의 차이는 가격제시자(시장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