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30. 금리와 환율의 불균형(금리재정거래가능성)
외환시장 내 현물환율이 미화 1달러 당 1,000원이고 이 환율은 향후 1년 간 변동이 없다고 가정하자. 자금시장에서 원화금리는 연 10%, 달러화에 대한 금리가 연 15%라고 할 때. 외화표시 현금 미화 1달러를 보유한 기업은 운용할 통화로 어떤 것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한지 살펴보자.
기업이 보유한 미화 1달러를 1년 동안 달러금리로 운용할 때 미화 1달러의 미래가치는 미화 1.15달러이다. 한편, 미화 1달러는 현물환거래를 통해 원화 1,000원과 교환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원화 1,000원의 1년 뒤의 미래가치는 1,100원이 된다. 두 통화 모두 보유기간에 따른 가치변동(상승)이 예견된 금융자산이지만 두 통화에 대한 금리가 달라 명목이자금액에는 차이가 있다. 이 상황에서 기업은 운용통화로 원화를 선택 할 수 있으며 달러로도 선택할 수 있다.
현재의 현물환율이 1년 동안 유지 된다면 두 운용방법에 대한 수익률을 현재시점에 미리 살필 수 있다. 자금시장 내 달러 금리가 연 15%이므로, 보유한 미화 1달러의 1년 뒤 미래가치는 미화 1.15달러이며, 이를 1년 뒤 현물환율인 원화 1,000원으로 평가하면 1,150원이다. 한편, 이 기업이 보유한 금융자산을 원화로 운용하기 위하여 현물환거래를 통해 미화 1달러를 원화로 환전하여 운용하면 원화금리를 고려한 1,000원의 미래가치는 1,100원에 불과하다. 현재의 현물환율이 1년 동안 유지된다면 기업은 미화로 운용한 결과 보유가능 한 원화금액은 1,150원으로 원화로 운용한 금액보다 50원 더 많다. 기업은 미화 1달러를 미화로 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금융수익 면에서 기업은 달러를 보유하여 운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므로, 현재시점 형성된 환율로 현물환거래가 이뤄질 수 없다. 이와 같은 시장상황에서 원화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도 외환시장을 통하여 달러화를 취득하여 달러화로 운용하고자 할 것 이므로 달러화의 수요증가 및 원화표시 달러환율의 상승을 야기한다.
두 통화의 금리와 환율 간의 불균형의 원인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불균형은 두 통화에 대한 금리 차에 따른 수익률 차이를 환율로 상쇄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고, 외환시장과 자금시장 간의 불균형은 무위험차익거래를 가능케 한다. 예컨대, 위와 같은 시장상황에서 현재 현금을 보유하지 않은 기업도 자금시장과 외환시장에서 거래를 통해 무위험차익을 실현할 수 있다. 원화금리로 원화 1,000원을 차입한 뒤 외환시장을 통해 미화 1달러를 매입, 미화 1달러를 운용 후 1년 뒤 보유할 1.15달러를 현물환시장에서 매도하여 보유한 1,150원 중 1,100원을 상환한 뒤 50원의 차익을 실현할 수 있다. 결국, 환율은 금리차이에 따른 명목수익을 균형에 이르도록 조정이 되어야 한다.
기업은 자금시장에 형성된 통화금리에 따라 보유한 금융자산(현금)의 미래가치를 파악할 수 있다. 현재 보유한 통화를 상대통화로 교환하기로 하였다면, 두 교환당사자가 현재시점에 교환될 두 통화의 미래가치가 동일할 것 이라고 예측하였기 때문에 교환이 가능하다. 기업은 운용가능 한 통화 중 어떤 통화를 선택하여 운용하든 손해를 보지 않을 것이라는 전제나 예측이 있어야 현재시점에 이뤄지는 두 통화 간 교환을 선택할 것 이므로, 현물환거래는 두 통화의 가치동등성 뿐만 아니라 장래의 특정시점을 기준으로 평가한 두 통화의 미래가치도 동등할 것이라는 판단에 근거하여 이뤄 질 수 있다.
현물환거래와 달리 선물환거래는 현재시점에 특정 환율로 선물환 만기에 외국통화(미 달러화)와 자국통화(원화)를 교환하기로 하는 약정이다. 선물환거래자들은 장래시점의 통화 간 교환을 현재시점에 약속하고 심지어 장래시점에 교환될 환율을 확정하기 까지 한다. 선물환거래는 현물환거래와 같이 통화교환을 약속하지만 장래의 특정시점에 대금을 결제하고 실물을 인수도 한다. 이 관점에서 현물환거래의 효과가 장래시점까지 이연된다는 점에서 이론적 선물환율과 현물환율은 동일한 환율이며, 선물환거래에 적용될 환율은 현재 시점에 교환대상 두 통화의 미래가치를 일시키는 수준에서 결정되어야 하고, 이 맥락에서 현물환율 및 교환대상 두 통화에 대한 금리를 토대로 두 선물환거래자가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균형적 이론 선물환율을 산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