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실무

TOPIC 16. 환율의 표시방법 : 미국식 표시방법과 유럽식 표시방법

storycustoms 2021. 11. 5. 12:32

 

 

 

앞서, 환율은 직접표시방법이나 간접표시방법으로 표시 할 수 있다고 하였다. 환율에 대한 이와 같은 표시방법은 어떤 국가의 입장에서 판단하는지에 따라 표현된 환율에 해석은 달라질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채택하고 있는 환율은 우리나라 입장에서 직접표시방법이지만 기준통화가 통용되는 국가의 입장에서는 간접표시방법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환율의 표시방법을 살필 때, 특정국가의 입장까지 고려하여야 하는 직접표시방법 또는 간접표시방법보다는 미국통화와 다른 나라통화의 관계를 나타내는 방식의 환율표시가 좀 더 일반적이고 유용할 수 있다.

 

 

 

국제 간 결제나 금융거래에서 통용되는 미국 달러화(통화)는 다른 국가의 통화와 다른 특징이 있다. 미국 달러화는 국제거래에서 결제통화로서 기능하는 기축통화(基軸通貨)중 하나로서, 전 세계에서 지급수단으로 인정되고 통용 되는 화폐이다. 그러므로 미국 달러화에 대한 각 국 통화에 대한 환율은 중요한 의미를 갖으며, 각 국은 미국 달러화에 대한 자국통화의 교환비율인 환율을 고시한다. 이에 따라서, 미국 달러화 이외의 통화와 자국통화 간의 환율은 국제외환시장에서 형성된 미 달러화에 대한 특정통화의 환율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각 국의 통화 및 미국 달러화의 환율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국의 입장을 고려하여 파악되는 직접표시방법 또는 간접표시방법과 같은 구분보다 환율의 표시방법을 미국통화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표현하는 것이 유용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각 국의 통화 와 미국 달러화 간 교환비율인 환율은 미국식 표기법(American terms or volume quotation)과 유럽식 표기법(European terms)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렇게 표시된 환율은 미국통화와 다른 나라통화의 관계를 나타내며, 이 환율은 특정국가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도 기준통화와 표시통화를 구분 할 수 있다

 

 

 

미국식 표기법(American terms)은 미국통화와 다른 나라의 통화 간 교환비율(환율)을 나타낼 때, 미국입장에서 직접표시방법이 되도록 표시하는 방법이다. 즉, 미국 입장에서 직접표시방법이라면, 미국 달러화가 표시통화로 표현된 환율이며, 기준통화가 미 달러화 이외의 통화가 된다. 미국통화가 아닌 기타 통화 1단위와 교환되는 미국 달러화의 양을 표기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영국 파운드화와 미국 달러화의 환율이 영국 1파운드 당 미화 1.5 달러로 표현되었을 때, 기준통화가 영국파운드화인 비(非)달러화이고, 표시통화가 미국 달러화 이므로 이 환율은 미국입장에서 직접표시방법으로 표시된 환율이며, 미국식 표시법에 따라 표현된 환율이다. 또한, 영국 입장에서 간접표시방법으로 표시된 환율이기도 하다. 이러한 미국식표기법은 선물시장이나 옵션시장에서의 통화거래에 사용되며, 유로존의 유로화, 영국의 파운드화, 호주의 달러화 등이 미국식 표기법을 채택하고 있다.

 

 

 

한편, 유럽식 표기법(European terms)은 미국식 표기법의 반대방법으로 환율을 표시하는 방법이다. 미국 달러화 1 단위와 교환되는 해당 외화의 양으로 환율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기준통화가 미국 달러화 이며, 표시통화가 비 달러화 이다. 미국이 아닌 기타 국가입장에서 직접표시방법이며, 미국입장에서는 간접표시방법으로 표현된 환율이다. 예컨데 우리나라에서 미화 1달러 당 원화가격 1,000원, 미화 1달러 당 일본 95엔 과 같은 형식의 환율표시가 유럽식 표기법으로 고시된 환율이다. 외국환은행의 대고객거래 또는 국제외환시장에서의 외환거래에 사용되며, 이와 같은 환율표시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통화는 한국의 원화, 일본의 엔화, 캐나다의 달러화 등이 있다.